Software Lab

4. 주소 지정 방식(addressing mode) #1 본문

컴퓨터 구조/Instruction Set

4. 주소 지정 방식(addressing mode) #1

아임코더 2022. 8. 11. 13:20

명령어 집합에서 mod 부분은 주소 지정 방식을 나타낸다. 즉시, 직접, 간접 방식 등이 있다. 현대의 CPU는 아래보다 훨씬 더 많은 방식을 지원한다.

Instruction set

즉시(10) : address 값은 데이터이다.
직접(00) : address 값은 데이터가 있는 주소를 나타낸다.
간접(01) : address 값은 데이터가 있는 주소가 들어있는 주소를 나타낸다.

 

주소 지정 방식에 따라 메모리에 명령어와 데이터가 올라간 상태이다.

주소 지정 방식 3가지

주소 지정 방식은 왜 필요한가? 명령어 집합에서 address 영역의 크기가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위의 16bit 명령어 집합에서 보면 address는 10bit이다. 표현할 수 있는 값의 범위는 0~1023이다.

즉시 방식은 데이터 값이 1,024보다 작은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다. 만약 데이터 값이 1,023보다 크다면 직접 방식을 사용해야 한다. 간접 방식은 데이터의 위치한 주소가 1,023보다 크다면 사용해야 한다.

즉시, 직접, 간접 방식 순으로 명령어를 처리하는데 더 많은 clock이 필요하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