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ftware Lab

4. Packet 구조 본문

네트워크/Concept

4. Packet 구조

아임코더 2022. 10. 20. 14:53

1계층부터 4계층까지 Packet에는 어떤 헤더가 있는지 대표적인 것만 알아보자.

L1
  • Preamble : '10101..' 이 반복되는데 수신 측에서 비트 속도를 찾기 위한 목적이다.
  • SFD(Starting Frame Delimiter) : Preamble 후에 Payload의 시작을 알리기 위함이다.
  • FCS(Frame Check Sequence) : 패킷에 오류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체크 값이다.
 
L2
  • Src MAC(Media Access Control Address) : 송신 호스트의 2계층 주소이다.
  • Dst MAC : 수신 호스트의 2계층 주소이다.
 
L3
  • Src IP(Internet Protocol) : 송신 호스트의 3계층 주소이다.
  • Dst IP : 수신 호스트의 3계층 주소이다.
  • Checksum : IP 헤더에 오류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체크 값이다.
 
L4
  • Src Port : 송신 호스트의 4계층 주소이다.
  • Dst Port : 수신 호스트의 4계층 주소이다.
  • Sequence : 송신한 TCP 패킷 번호이다. 패킷을 보낼 때마다 그것의 데이터양만큼 누적되어 증가한다.
  • Ack : TCP 패킷에서 성공적으로 수신한 Sequence 값이다.
  • Window : TCP에서 수신 측 버퍼의 남은 크기를 나타낸다.
  • Checksum : TCP 헤더에 오류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체크 값이다.

'네트워크 > Conce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IP/Subnet  (0) 2022.10.24
5. 인트라넷, 인터넷  (0) 2022.10.24
3. Packet 송수신 과정  (0) 2022.10.20
2. OSI 7 Layer  (0) 2022.10.19
1. 택배 시스템 vs 네트워크 시스템  (0) 2022.10.18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