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ftware Lab

2. L2 스위치 본문

네트워크/2 Layer

2. L2 스위치

아임코더 2022. 10. 26. 15:01

L2 스위치는 패킷이 통과하는 교차로 역할을 하는 네트워크 장비이다. 패킷의 출발지나 도착지가 아니다. 따라서 포트에 IP가 없다. 패킷의 이정표가 되는 Forwadting table은 수신 패킷에 의해서 자동 학습(Auto Learning) 된다. 따라서 L2 스위치는 별도 설정이 필요 없다.

L2 스위치

그림과 같이 L2 스위치 각 포트에는 구분이 없다. 호스트들의 구분 없이 아무 포트나 연결하면 서로 통신 할 수 있다. 단 호스트들의 IP에서 Network 값이 같게 설정이 되어야 한다.

요즘은 무선을 많이 사용한다. 그렇더라도 유선을 연결하는 포트만 없을 뿐 동작 원리는 같다.

다음은 L2 스위치의 동작 원리이다.
  • 수신된 패킷의 출발 MAC과 수신 Port를 Forwarding table에 등록한다.
  • 수신된 패킷의 목적 MAC을 Forwarding table에서 찾아서 해당 Port로 패킷을 송신한다. 만약 목적 MAC이 ~FF이면 수신 Port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Port로 Broadcast 한다.

 

동작 원리를 이해하면 그림과 같은 구조로 연결해도 LAN 상의 호스트들 간에 통신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네트워크 > 2 Lay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L2 스위치 vs 공유기(Broadband Router)  (0) 2022.10.26
1.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0) 2022.10.25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