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ftware Lab

1.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on WAN 본문

네트워크/3 Layer

1.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on WAN

아임코더 2022. 10. 26. 15:12

WAN에서 ICMP 패킷의 통신 과정을 살펴보자. 1.1.1.10의 출발 호스트가 8.8.8.2의 목적 호스트로 ICMP를 보내려고 한다.

먼저 출발 호스트는 ICMP Request 패킷을 구성한다. 패킷의 2계층에서 출발 MAC과 목적 MAC을 넣게 된다. 목적 MAC은 LAN(Local Area Network)에서의 목적 호스트의 것이 들어가야 한다. 그림에서 출발 호스트의 LAN에 있는 목적 호스트는 바로 게이트웨이(GateWay)이다. 따라서 목적 MAC은 게이트웨이의 MAC이 들어간다. 그래야 L2 스위치가 패킷의 목적 MAC을 포워딩 테이블에서 찾아 게이트웨이로 패킷을 포워딩할 수 있다. 패킷의 3계층에서 출발 IP와 목적 IP를 넣게 된다. 목적 IP는 사용자가 Ping 명령어와 함께 입력한 파라미터가 들어간다. 패킷에서 Body 또한 구성하는데 특별한 의미는 없다. 이렇게 구성된 ICMP Request 패킷은 L2 스위치를 거쳐 L3 라우터의 게이트웨이로 들어간다.

 

Subnet Masking

출발 호스트는 패킷을 구성 할때 출발 호스트 IP와 목적 호스트 IP를 Subnet Masking 하여 네트워크값을 구할 수 있다. 만약 네트워크가 같다면 목적 호스트는 LAN에 있는 것이고 다르다면 WAN에 있는 것이다. 목적 호스트가 WAN이라면 목적지 MAC은 게이트웨이의 MAC이 된다.

 

L3 라우터는 Routing table을 참고하여 패킷 경로를 결정한다. Routing table에는 포트 별로 연결된 네트워크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그중에서 0.0.0.0/0으로 나타내는 네트워크가 있는데 그것을 Default Route라고 한다. 그것은 목적 IP의 네트워크 경로를 찾을 수 없는 경우에 패킷을 내보내는 Default 경로가 된다. 이렇게 L3 라우터들은 Routing table을 참고하여 패킷을 통과시킨다.

패킷이 L3 라우터를 통과하면 그것은 다른 LAN으로 전송 되는 것이다. 즉 WAN으로 전송되는 것이다. 따라서 패킷에서 출발 MAC과 목적 MAC은 그 LAN의 출발 호스트의 MAC과 목적 호스트의 MAC으로 바뀌게 된다. L3 라우터도 IP를 가지고 있어서 호스트라고 볼 수 있고 그것들 사이 영역은 LAN이라고 볼 수 있다.

 

이렇게 ICMP Request 패킷이 목적 호스트에 도착한다. 이제 목적 호스트는 ICMP Response 패킷을 구성한다. ICMP Request 패킷을 구성할 때와 같은 원리로 ICMP Response 패킷을 구성한다. 패킷에서 Body 또한 구성되는데 역시 특별한 의미가 없다. ICMP Response 패킷은 L2 스위치, L3 라우터들을 거쳐 출발 호스트에 도착하게 된다.

'네트워크 > 3 Lay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4. IP 분배 원리  (0) 2022.10.28
3. 망 분리(Network Segmentation)  (0) 2022.10.28
2. L3 라우터  (0) 2022.10.26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