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ftware Lab

4. IP 분배 원리 본문

네트워크/3 Layer

4. IP 분배 원리

아임코더 2022. 10. 28. 13:52

인터넷은 전 세계에 연결된 통신망이다. 인터넷에 접속하려면 IP가 필요하다. IP가 분배되는 원리를 알아보자.

IANA(Internet Assigned Numbers Authority)라는 기관이 있다. 이 기관은 국가별로 네트워크 대역을 분배한다. 국가는 큰 단위이므로 가령 20.0.0.0/8(Subnet) 처럼 작은 Subnet의 네트워크 대역으로 분배한다. 그러면 그 국가가 사용할 수 있는 IP는 20.0.0.0~20.255.255.255가 된다.
다음으로 국가는 다시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별로 한 단계 작은 Subnet 값의 네트워크 대역으로 분배한다. 가령 20.20.0.0/16으로 분배한다면 사용할 수 있는 IP는 20.20.0.0~20.20.255.255가 된다. 이런 식으로 Sub net 값을 올릴수록 네트워크 대역을 점점 작게 쪼갤 수 있다. 그래서 ISP는 다시 지역별로 분배하고 최종적으로 가정과 회사로 IP 또는 네트워크 대역을 분배하게 된다.

IANA 에서 분배할 수 있는 IPv4는 이미 고갈되었다. 한국은 IPv4를 이미 1억 1천만 개를 보유하여 아직은 고갈되지 않았다.하지만 언젠가는 모두 고갈될 것이고 IPv6를 방식으로 넘어가야 한다.

'네트워크 > 3 Lay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망 분리(Network Segmentation)  (0) 2022.10.28
2. L3 라우터  (0) 2022.10.26
1.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on WAN  (0) 2022.10.26
Comments